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내집마련

사회초년생 자취방 예산짜기와 집구하는 방법 2탄

by 뿌자부부 2023. 2. 6.

 

저번시간에 사회 초년생들과 무직자,

프리랜서들도 대출이 가능한 상품에 대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오늘은 대출을 넘어 예산을 정확하게 짜는 법,

그리고 자세한 집 구하는 과정을 알려드릴게요 ! 

 

이 내용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두고 

하나씩 체크해나가면서 하시길 추천드려요! 

 

 

 

 

✅ 이사 할 때 예산 짜는 법

일단 이사에 드는 돈은 보증금뿐만이 아니라는 사실은

저번 포스팅에서 알려드렸는데요 !

 

그럼 이 사하 때 정확히 얼마 정도가 드느냐! 

 

 

1.   이사할 때 드는 비용 짐 싸 어플로 확인 가능 ) – 원룸이사는 보통 3030만 원 내외

2.   중개수수료 - 보증금에 비례하나 보통 최대 26만 원6 안 넘음

3.   보증금 내가 낼 비용 = 대출을 제외한 금액

    - 가계약금 : 집을 보고 결정한 날 예약하는 차원에서 10~50 정도 먼저 냄

    - 잔금 : 가계약금을 제외한 나머지금액은 이사 가는 날 납부

4.   이 외 드는 비용 다 생각해서 넉넉하게 잡기 : 이외에도 이사하는데 예상치 못하게

   돈 들 곳이 많을 수 있으니까 미리미리 알아보고 예산을 아주 넉넉하게 준비하세요!

 

 

 

✅ 대출받고 이사하는 순서

 

 

이제 대출을 받고 집을 구하는 과정에 대해 알려드릴 건데요!

지난 포스팅에서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 으로 대출받는 방법과

카카오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로 배출받는 순서 알려드릴게요! 

 

 

 

2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전세대출로 대출받는 순서

1)   서울특별시 융자 추천서 받는다 – 2일 정도 소요, 서울주거포털사이트에서 가능

2)   하나원큐 어플로 한도조회한다 일단 처음엔 이사 갈 동네 아무 주소 찍고 조회 )

- 자세하게 필요한 서류랑 어느 정도 대출 되는지 알아보고 예산 정하기

3)   집 알아본다

4)   가계약하고 확정일자 받고 서류 챙겨 대출신청한다

5)   이사하고 잔금을 낸다! 

 

3 카카오은행 청년 전원세보증금대출로 대출받는 순서

1)   카카오에서 한도조회 하고 상담사한테 전화로 필요한 서류 물어보기

      한도 조회하면서 내가 받을 수 있는 대출금액과

      가지고 있는 금액 합쳐 예산 짜기

2)   집 알아보기

3)   가계약하고 확정일자 받고 서류 모아서 대출신청하기

4)   이사하고 잔금내기 끝! 

 

 

 

 

 

✅ 대출을 알아봤다면 집 발품!!

 

- 대출받을 수 있는 예산보다 낮게 집 알아보기 더 적게 나올 수도 있기 때문 )

- LH나 SH 공사 대출이 되는 곳만 보여 달라고 하기!

- 집이 마음에 드는 곳은 건축물대장’ 이랑 등기부등본 볼 수 있냐고 하기

- 집이 넘 마음에 들어서 여기다 싶으면 가계약 먼저 하기 ( 가계약금은 통상적으로 보증금 5% 정도  ))

- 공인중개사에서 대출 소개해준다고 하면 안 하는 게 좋습니다! 

- 공실이면 얼마나 공실이었는지 물어보기 ( 오래 빈 집은 비어있는 이유가 있음 )

- 요구사항 정확하게 말하고 타협할 수 있는 것들은 따로 생각해 두기.

   ex

 

 

 

✅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했다면 가계약금을 걸고 대출 신청 시작하기

 

ㄴ.   하나은행은 건축물대장과 등기부등본 보여주면서

이 집 대출 되는지 여쭤보기( 물어보고 나면 대출 신청하는 거 알려줌 )

 

ㄷ.   카카오뱅크 어플에서 다시 정확한 정보들로 대출 한도 조회하고 신청 시작

필요한 서류 모으기 (거의 이누야샤 사혼의 구슬조각 모으기 느낌으로 ㅋㅋㅋㅋ)

사진으로 제출 ( 부족한 서류는 전화로 알려주시니 걱정 말고 준비하면 됩니다!하고 대출 신청

 

 

✅ 부동산에서 계약하기

- 중개인이 집주인이랑 날짜 맞춰서 부동산에서 삼자대면하여 계약서 씁니다!

- 신분증이랑 도장 들고 계약! ( 요즘엔 싸인으로 대체 가능해요 )

- 계약 시 특약 꼭 넣어달라고 하세요! 권리입니다!

  특약 내용 전세대출이 불발 시 계약금 전액 환불 

                  2 임대인은 전세대출 과정에 알고 있고 협조한다.

- 계약 시 받아야 할 서류 챙기기

보증금액의 5% 이상의 계약금 영수증

2 계약서

3 등기부등본

4 건축물대장

   ( 보통 3,4번은 집에 융자나 경매가 없으면 먼저 떼준다고 함 )

5 집주인분 통장사본 혹은 집주인 명의 계좌번호 잔금 처리를 위해 )

 

 

✅ 계약한 날에 주민센터 가서 확정일자 받기

- 이건 이사 갈 동네 동사무소에서 할 수 있어요! 

 계약서 쓰고 바로 가서 하시는 게 좋아요 ( 무! 조! 건! )

 

 

 

✅ 이사 갈 날을 정했다면 이삿짐 차 예약하기

  - 요즘 짐 싸나 원룸 이사 어플이 많으니 견적 받아보고,

   괜찮은 곳으로 직접 골라 계약!  ( 여기서도 기사님과 날짜랑 시간 맞추고

   금액은 계약금만 먼저 걸고 이삿날 남은 금액 드리기! 

 

 

✅ 서류 다 준비되었다면 대출 신청 진행!

이전 게시글에도 서류들을 다 적어놨지만 

대출을 알아보고 신청하는 과정에서 다 안내해주셨을 거예요! 

그래도 모르겠는 사람들을 위해 한 번 더 알려드릴게요! 

 

 

대출에 필요한 서류 

 

2.   서울시 청년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전세대출

1 서울시 융자 추천서 (서울주거포털사이트에서 신청)

2 확정일자가 찍힌 임대차 계약서

3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4   가족관계증명서

5   계약금 납입 영수증 ( 집 계약 할 때 받음 )

6 소득 및 재직 증명 서류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정부 24)4) 건강보험 납부확인서(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

- 대출 승인까지는 1주 정도 소요됨 / 승인되면 잔금 전날 은행 방문 (전화옴)

- 은행 가서 서류 작성하면 대충 승인 완료

 

3.   카카오뱅크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 대출신청 시작할 때 상담원한테 물어보기 )

1.   가족관계증명서

2.   주민등록등본

3.   소득확인서류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정부 24)4) 건강보험 납부확인서(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

4.   확정일자 도장 찍힌 임대차 계약서

5.   계약금 납입 영수증 ( 집 계약 할 때 받음 )

 

 

✅ 대출 신청 후 잔금 처리 후 이사!

이삿날 잔금 보내면서 임대차계약서 쓰고 대출 신청 완료

- 대출 잔금날(이삿날) 부동산에 집주인과 만나서 나머지 계약서 하고 잔금 보내요 !

( 내가 낼 금액이 있다면  집주인 명의로 된 계좌로 이체하고

( 이체 금액이 클 수도 있으니 미리 이체 한도 상향 해둬야 함!!)

대출은 신청한 날( 이삿날) 에 집주인 계좌로 입금됨 – 입금 됐는지 집주인께 꼭 확인하기 )

- 잔금날은 평일로 하셔야 해요!

( 꼭 은행 영업일로 ! 그래야 문제가 있어서 바로 처리 가능해요 !

그리고 이 날 중개비도 보내드려야 되니까 이체 한도 꼭 올려두세요!)

 

- 이사 짐 다 옮겼다면 ( 이삿집 용달비나 인건비도 이날 결제 )

  주민센터로 가서 전입신고 먼저 하고

  은행에 등본 제출 필요하면 하기

 

 

 

 

자 여기까지 오셨다면 이사는 마무리! 

하지만 짐만 옮기고 이사만 하고 끝내시거예요?

전기는 연결돼있나? 수도는? 가스는??

 

이제 진짜 홀로서기인 만큼 이런 것들도 다 할 줄 알아야겠죠?

다음 포스팅에서 알려드릴게요! 

 

 

혹시나 너무 어렵거나 추가 설명이 필요한 것들은 다음에 한번 더 포스팅할게요!  

 

 

반응형

댓글